제목 [국문] |
『환단고기』는 어떤 사서인가? - 서지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Subject |
What does define Hwandangogi as a history text? - A bibliographical perspective |
저자 |
전재우 |
Author |
Jeon, Jae-woo |
발행년도 |
2024 |
초록 |
『환단고기』는 1911년에 간행되었으며, 편저자는 독립운동가인 계연수桂延壽(1864~1920)이다. 이 『환단고기』는 스승인 이기李沂(1848~1909)가 감수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초간본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1911년의 『환단고기』가 아니라 1979년에 간행된 『환단고기』로만 인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1911년 『환단고기』의 출간이 있었던 배경부터 고찰하였다. 스승인 이기와 계연수의 만남을 살펴보고, 두 사람이 만나서 처음으로 한 ‘홍익사서’ 명명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 계연수가 역사 고문헌을 수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1911년에 『환단고기』를 출간하는 선행 작업으로 먼저 단행본들이 출간되었음을 고찰하였다. 또 스승이 남긴 유촉으로 『환단고기』가 출간되었음을 조명하였고, 초간본이 출간된 이래 어떻게 전수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1979년에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판본인 『환단고기』 광오이해사본과 『환단고기』 배달의숙본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그 과정에서 오형기의 정서가 있었음을 살펴보았으며, 오형기는 상당한 학식을 갖춘 당대의 학자이며, 단순한 필경사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환단고기』 광오이해사본에 대해서 발간을 주도한 조병윤과 『환단고기』를 최고급 선장본과 보급판으로 만들어준 광오이해사 박기엽 사장의 업적을 조명하였다. 또 『환단고기』 배달의숙본이 『환단고기』 정본임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광오이해사본의 오류를 수정해서 배달의숙본으로 출간했다고 여기는 것이 잘못된 것임을 고찰하였다. 80년대 『환단고기』 번역서들이 광오이해사본을 저본으로 하였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환단고기』 정본인 배달의숙본의 발행 현황을 조명하여 판본에 대한 전체적인 정리를 하였다. 『환단고기』는 계연수 선생이 1911년에 발행한 한민족의 시원인 환국·배달·조선의 삼성조 역사를 말해주는 역사서임을 조명하였다. |
키워드 |
계연수, 이기, 이유립, 오형기, 광오이해사본, 배달의숙본, 박기엽, 이고선, 심당전서, 단단학회, 홍익사서 |
Abstract |
Hwandangogi is a historical text published in 1911 by Gye Yeon-su (桂延壽, 1864–1920), a renowned independence activist, with editorial oversight by his mentor Yi Gi (李沂, 1848–1909).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the original 1911 edition, there is a tendency to acknowledge only the 1979 version of Hwandangogi as authentic.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the 1911 Hwandangogi. It explores the meeting between Gye Yeon-su and his mentor Yi Gi and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the term “Hongik Saseo” (弘益史書), first coined by the two scholars. The process by which Gye Yeon-su collected ancient historical documents and published preliminary monographs in preparation for the 1911 edition of Hwandangogi is also scrutinized.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how Yi Gi’s final wishe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publication and investigates how the original edition was transmitted over time.
Attention is given to the popularization of Hwandangogi in 1979, focusing on two major editions: the Gwango Ihesa Edition and the Baedal Euisuk Edition. It confirms that Oh Hyeong-gi, often regarded as a mere copyist, was in fact a highly knowledgeable scholar of his time. The contributions of Jo Byung-yun, who spearheaded the publication of the Gwango Ihesa Edition, and Park Ki-yeop, the director of Gwango Ihesa, who produced luxury and mass-distributed versions of the text, are also examined. This study further identifies the Baedal Euisuk Edition as the definitive version of Hwandangogi, ighlighting its publication status and provid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all existing edition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how 1980s translations of Hwandangogi were based on the Gwango Ihesa Edition and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ublication history of the Baedal Euisuk Edition. Through this analysis, Hwandangogi is reaffirmed as a historical text documenting the triadic history of Hwan-guk, Baedal, and Joseon, as compiled by Gye Yeon-su in 1911. |
Keywords |
Baedal Euisuk Edition, Dandan Society, Gwango Ihaesa Edition, Gye Yeon-su, Hwandangogi, Lee Go-seon, Hongik Saseo, Lee Yu-rip, Oh Hyeong-gi, Park Ki-yeop, Simdang Jeonseo, Yi Gi |
다운로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