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검색

항목 내 용
제목 [국문]

『단군세기』에 기록된 ‘경당’과 ‘천문역사’ 고찰

Subject

“A Study on Gyeongdang and the Tradition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s Recorded in the Dangunsegi”

저자 韓文洙
Author Han, Moon-Soo
발행년도 2016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고조선의 교육 체계는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그 의의는
무엇이었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교육 변화와 조선으로 들어와 선인들이 백정(白
丁)으로 추락, 오백 년 한(恨)을 쌓은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경당은 고구려 초기 지방 촌락을 중심으로 평민들의 미혼 자제들을 모아
교육했던 ‘사설 교육기관’으로만 인식되어 왔다. 또한 유학을 교육하고 군사 양성기
관으로 보아온 측면이 보인다. 그러나 『한단고기(桓檀古記)』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경당은 고조선 초기 국가 주요지역에 소도(蘇塗)를 두고 설립, 계급 구분없이 평민,
귀족 자제가 함께 교육을 받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은 육예(六藝)를 연마, 문(文)
무(武)를 겸전하고 ‘삼신일체(三神一體)의 도’를 일깨웠음을 알 수 있다.

행촌(杏村) 이암(李O)이 『단군세기(檀君世紀)』에 경당에 대한 기록을 남긴 이유는 무엇
이었을까? 그 서문에 “사학(史學)이 밝지 아니하면 사기(士氣)를 펼 수 없고, 사기를
펼 수 없으면 나라의 근본이 흔들리고 정사(政事)와 법령(法令)이 갈라진다(史學不明則
士氣不振士氣不振則國本搖矣政法)”라 하여 후세에 경고의 메시지를 주었다고 보는 것이
다. 행촌의 사상과 이념이 함께 묻어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신생 조선이 성립되면서 경당의 이념은 서서히 사라졌다. 고사서의 분서(焚
書)를 통해 그 흔적을 지웠다. 또한 1만 년 고조선의 찬란했던 천문(天文) 기록마져
사대(事大)에 맹종하면서 둔갑되고, 왜곡되고 말았다.

이제 다시 시작이다. 1만 년을 꽃피울 토대가 마련되어 가고, 한밭에서 시작된 한류
열풍 기상이 일어나고 있지 아니한가. 소도(蘇塗)의 시발점이다. 여기에서 어아가(於
阿之樂)를 하고, 천경신고(天經神誥)를 통해 신성(神性)을 찾아야 할 것이며 이렇게 함
으로써 부도(符都)의 세상이 열리리라고 본다.
키워드 경당(扃堂). 조의선인(皂衣仙人). 백정(白丁). 분서사건(焚書事件). 『천문비 기(天文秘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ystem of Ancient Joseon and
its significance, the changes in the three kingdoms’ (Goguryeo, Baekje, Silla) educational
system, the spiritually immortal persons’ fall to the lower social class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and the process of their consequent grief being accumulated
throughout Joseon era.
So far, Gyeongdang has only been known as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on
regional villages, where unmarried young men of the general public were educated. It has
also been understood as an institution of Confucian classics and military training. A close
examination of the book Hwandangogi, however, reveals that Gyeongdang was already
founded in the early days of Ancient Joseon in local centers where the sodo was
established, and that young men of both the public and the nobility were educated
together in Gyeongdang. They cultivated the six arts (etiquette, music, archery,
horsemanship, calligraphy and mathematics), thus having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and promoting the dao of becoming one with Samsin.
Why did Yi Am (honorific name: Haengchon) leave a record of Gyeongdang in his
Dangunsegi? It is highly likely that he sent a warning message to the future generation
through the passage in the preface of the Dangunsegi: “If history is not clearly established,
the courage of scholars will remain uninspired. If the courage of scholars is not inspired,
the foundation of the state will waver and fissures shall emerge in the ruling codes of the
country.” His ideas are well reflected in this passage.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however, the educational ideals of Gyeongdang
gradually vanished. Its traces were erased through the burning of ancient historical works.
In addition, the splendid 10,000-year astronomical records of Ancient Joseon became
changed and distorted under Joseon’s sycophantic policies.
It is time to begin anew. The foundation is being laid for the cultural blossoming of
coming 10,000 years, and the “Korean wave”, whose spirit having originated in Daejeon,
is sweeping many parts of the world. It is indeed the starting point of the revival of the
sodo. Here, we should sing the Eo-a-ga, and search divinity by way of the Cheonbugyeong
and the Samilsingo. In doing so, a world will be brought forth, the one in agreement with
the will of heaven.

Key words : Gyeongdang, Sodo, Samsin, Dangunsegi, Cheonbugyeong, Samilsingo,
Eo-a-ga
Keywords Gyeongdang, Sodo, Samsin, Dangunsegi, Cheonbugyeong, Samilsingo, Eo-a-ga
다운로드